온택트 보조기기 심포지엄 치매노인 보조기기 지원 확대 방안
|
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보조기기의 활용
|

|

|
1. 아일랜드의 치매정책과 MTL 프로그램 2. 치매노인 보조기기 지원 확대 구축 방안 3. 국가 치매센터의 보조기기 지원 사업 수행 및 연계 가능성 4. 인지적 측면에서의 보조기기 활용 효과성 5. 치매노인 및 보호자를 위한 보조기기 국가공적급여 연계 방안 6. 치매노인과 보호자 측면에서의 치매노인 보조기기 활용 사례 |
1. 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개요 2. 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보조기기의 선택을 위한 상담 평가 3. 보완대체의사소통 기기선택 가이드 4. 장애유형별 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접근 5. 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활용하기 부록 1. 국내 유통 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소개 부록 2. 간단한 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만들기 |
2021 경기도 보조기기 공적급여사업 매뉴얼 |
2020 여성장애인 맞춤보조기기 지원사업 결과보고집 |

|

|
1. 보조기기 이해 및 센터소개 – 보조기기 및 보조기기서비스 개념 – 보조기기서비스 과정 2. 보조기기 공적급여 사업 – 교부사업(국비/도비) – 주민센터 확인사항 3. 보조기기 지원품목 안내 – 국비/도비 품목 안내 4. 부록(기타제도 안내, 사업관련 양식 등) |
1. 사업개요 2. 지원 보조기기 소개 3. 보조기기 지원 사례 4, 보조기기 지원 결과 5. 보조기기 사용 실태 및 만조도 조사 6. 보조기기 지원 사전-사후 조사 결과 |
이동보조기기 관리 및 수리개론 |
3D 프린터 활용 보조기기 개조 · 제작 서비스 실무자 교육(심화) 자료집 |

|

|
1. 이동보조기기 개론 2. 수동휠체어 3. 전동휠체어 4. 전동스쿠터 5. 수동휠체어용 추진장치 6. 배터리 7. 부록 |
1. 교육 개요 2. 3D 보조기기 융합 디자인 교육 3. 3D 스캐닝 및 역설계 절차 시연 4. 3D 보조기기 설계 심화 5. 3d 보조기기 서비스 지원사례 소개(강원, 울산) |
2021 온택트 보조공학 컨퍼런스 |
2021 치매 보조기기 지원 확대를 위한 정책 제안서 |

|

|
주제발표 토론자료 1~3 |
1. 치매 보조기기(복지용구) 품목 확대 2. 치매 보조기기 전달체계 마련 3. 치매 보조기기 관련 법/제도 개선 4. 치매 보조기기 R&D 확대 |
2021 경기도형 AAC 그림 · 글자판 |
2021 보조공학 심층서비스 사례집 |

|

|
1.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한국 민속촌 관광객이 사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판 2. 제작 형태 및 비치 장소에 따라 휴대용, 비치용으로 구분 3. 휴대용 : 자주 사용하는 상징을 기준으로 상징 구성 4. 비치용 : 비치 장소에 따라 상징 구성 |
1. 심층사례 자문위원회 개요 2. 1차 심층사례 자문위원회 3. 2차 심층사례 자문위원회 4. 3차 심층사례 자문위원회 |
2021 보조기기 아이디어 공모전 결과보고서 |
학습용 보조기기의 활용 |

|

|
1. 2021 보조기기 아이디어 공모전 2. 수상작 소개 3. 현장 스케치 4. 부록: 3D 프린터 활용 보조기기 공모전(1,2회) 수상작 |
1. 학습용 보조기기 개요 2. 학습용 보조기기의 선택을 위한 과정 3. 영역별 학습용 보조기기 적용 4. 보조기기 활용 사례 |
|